본문 바로가기

마주하기/글

목계 장터 / 신경림

하늘은 날더러 구름이 되라 하고

땅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네.

청룡 흑룡 흩어져 비 개인 나루

잡초나 일깨우는 잔바람이 되라네.

뱃길이라 서울 사흘 목계 나루에

아흐레 나흘 찾아 박가분 파는

가을 볕도 서러운 방물장수 되라네.

 

산은 날더러 들꽃이 되라 하고

강은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산서리 맵차거든 풀 속에 얼굴 묻고

물여울 모질거든 바위 뒤에 붙으라네.

민물 새우 끓어넘는 토방 툇마루

 

석삼 년에 한 이레쯤 천치로 변해

짐 부리고 앉아 쉬는 떠돌이가 되라네.

 

하늘은 날더러 바람이 되라 하고

산을 날더러 잔돌이 되라 하네.

 

 

1976

신경림

 


 

목계장터는 실제 남한강의 나루터이자 장터였던

목계장터를 배경으로 한 시라고 한다.

 

한때는 남한강 중상류를 오가는 수운이 번성하다가

서울과 부산을 잇는 고속도로가 생기고.

심지어 그 도로가 충주가 아닌,

대전을 지나가면서 쇠락의 길을 걸었다고 한다.

그러한 목계 나루터의 장터와

장들을 옮겨다니는 장돌뱅이들의 삶의

애환에 대해서 쓴 시라고 한다.

...

라고 하는데,

교과서에서 말하는 작가의 의도.

난 사실 잘 모르겠다.

 

쇠퇴해가는 도시와

그 구성인의 삶에 대한 시라면

우리가 지금 살아가면서

이 시에 울림을 느낄 수 있을까

 

아니면

 

사람사는 것이

다 똑같다는 반증일까